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국제 무역에 미치는 파장이 커지면서 여러 나라들이 각기 다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관세 인하를 요구하며 협상단을 미국으로 보내는가 하면, 다른 곳에서는 강력한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가 임박한 가운데, 협상은 가능하나 대응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미국과의 상호 무관세 협상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냈다"라고 밝히면서도, 협상이 결렬될 경우 무역전쟁이 불가피하다는 강경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는 경제적 괴롭힘"이라는 중국의 주장을 피력하며 추가 대응 방안을 예고했다.
아시아 여러 나라들도 분주하다.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후 협상팀을 미국에 파견할 예정이며, 한국 또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을 방문해 협상을 시도할 계획이다. 베트남은 대미 관세를 완전히 없애겠다고 발표하며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남아시아 지역에서도 활발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파키스탄과 말레이시아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미국산 제품 수입을 확대해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는 방안에 집중하고 있다. 필리핀과 캄보디아 역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낮출 것을 약속하며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서고 있다.
남아프리카의 레소토는 미국에 항의하기 위해 대표단을 구성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노력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무역적자가 개선되지 않으면 관세를 철회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일부 국가의 대미 관세 인하 제안에 대해 관세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비관세 장벽인 부가가치세나 정부 보조금 등에 대한 조치를 촉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비관세 사기가 주요 문제"라며 "제로 관세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라고 경고했다.
세계 각국이 다양한 전략을 통해 관세 갈등 해결을 모색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과 서로 다른 국가의 이해관계 속에서 향후 무역 협상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